-
자계[磁界](Magnetic field)
자극을 놓을 때 이 힘이 작용하는 공간. 또는 자극의 자기작용이 미치는 에너지 범위내를 말한다.
-
자계의 세기[磁界의 세기](Field intensity)
자계의 1점에 2자계를 산란하게 하고 단위 정자극(正磁極)을 놓았다고 가상했을 때 여기에 움직이는 힘의 크기를 말한다. 단위는 [AT/m]를 사용한다. 자계강도와 동의
-
자구[磁區](Magnetic domain)
자성재료의 결정입을 조사하면 같은 방향에 자화되기 쉬운 가능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 하나하나를 자구라 말한다.
-
자극[磁極](Magnetic pole/ Field pole, pitch)
① 자석에서는 정극(북극)과 부극(남극)을 말한다. 또, 전기기기의 계자용의 계자권선을 감는 부분.
② 하나의 자극의 중심측과 인접한 자극의 중심측과의 사이의 거리.
-
자극면[磁極面](Pole face)
자극편의 gap에 향하는 표면
-
자기극성[磁氣極性](Magnetic polarity)
자극의 북극(정극)인가 남극(부극)이가란 말이다.
-
자기누설변압기[磁氣漏洩變壓器](Leakage transformer/ Constnt-voltage transformer)
적당한 전압을 얻기 위해 전류가 증가하려고 하면 누설자속이 증가하여 이것을 억제하는 구조를 갖는 변압기로 전기용접에 사용한다.
-
자기여자[自己勵磁](Self-excitiation)
자기(自己)출력으로 자신을 여자 또는 여진하는 것. 이를테면 진공관의 플레이트진력의 일부가 자기의 그리드 측에 돌아와 그것이 플레이트전력을 증가시켜 이 현상을 되풀이하여서 드디어는 발진상태로 되는 경우 또는 교류발전기를 무부하상태의 송전선에 연결할 때 발전기가 무여자 또는 계자회로가 개방상태에 있다고 하더라도 큰 전압을 유기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현상을 말한다.
-
자기인덕턴스(Self-inductance)
자기유도(磁氣誘導)에 의하여 생긴 기전력(起電力)은 시간에 대한 전류의 변화 비율에 비례한다. 이 비례상수(比例常數)를 자기인덕턴스라 한다. 1암페어의 전류를 회로에 흐르게 하였을 때 그 회로 자신에 쇄교한 자속수(磁束數)를 L이라 하고, di암페어만큼 전류치가 변화하였다고 하면 그것에 대응하는 자속수의 변화 dΦ는 dΦ=Ld로써 표시된다. 그런데 dt초중에 dΦ만큼 자속수가 변화할 때 그것에 쇄교하여 있는 회로중에는
는 전류의 변화시간에 대한 비율이다. 이 L이 그 회로의 자기인덕턴스이다(E는 전류변화의 반대방향을 취하므로 역기전력이라고 한다) L의 실용단위는 헨리이다.
-
자기차폐[磁氣遮蔽] (Magnetic screening/ Magnetic shieding)
자계중의 어느 장소를 투자율이 충분히 큰 강자성체로 그 내부가 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한 것.
-
자동제어[自動制御] (Automatic controlling)
기기를 사람의 손을 대는 일 없이 meter계전기, 증폭기, Thermostat 등의 힘을 빌려 자동적으로 여러가지 량을 어느 목적때문에 과부족을 수정하면서 동작시키고 기본적인 구성은 제어하는 희망 또는 목표치를 검출신호와 동종류의 물리량으로 하여 자동제어를 위한 기준이 되는 입력신호를 만들어내는 설정부와 여기에 만들어낸 목표치와 제어관에서 반환해 오는 검출신호와의 편차를 제동동작을 행하는 조작부에 보내는 조정부와 제어대상에서 만들어진 제어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로 된다. 즉 제어방법은 목표치가 일정한 정지제어, 목표치가 변하는 추종제어를 연속적으로 행할 연속제어. 어느 공정 전체에 이르는 제어를 행할 Process제어 등 여러가지가 있다.
-
자려현상[自勵現像] (Self-excitation phenomenon)
발전기가 고전압의 송전선(送電線)에 접속되어 송전선이 무부하(無負荷)이면 송전선은 등가적으로 condenser로 작용시켜 발전기에 진상통전전류가 흘러 전기자 반작용의 결과자극이 강해져 발전기의 단자전압이 상승하는 현상.
-
자력[磁力] (Magnetic force)
자극상호간에 움직이는 힘 또는 자계중자극에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
자력선[磁力線] (Line of magnetic force)
자계의 세기, 방향, 분포 등을 생각하는데 편리하게 생각하기 위한 가상적인 선으로 정극에서 나와서 부극에서 끝날 것. 이 선의 접선으로 자계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 선의 밀도가 자계의 세기를 나타낼 것. MKS단위계서는 투자율 μμ0인 물질 중에서 m(Wb)인 자극에 출입하는 자력선은 m/μ μ0본 등으로 결정되어 있다.
-
자성체[磁性體] (Magnetic substance)
자계중에서 자화되여 자극을 만드는 물체로 여기에는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계가 생기념 遁자극의 방향이 반대인 상자성체와 다른 하나는 자계가 생기면 자극의 방향이 같은 역자성체가 있다.
-
자속[磁束] (Magnetic flux)
① 어떤 면을 통하는 자력선(磁力線)의 수를 그면을 통과하는 자속.
② 임의(任意)의 면을 통과하는 자력선의 수를 이면적을 통하는 자속이라고 한다. 자석의 단위로는 「맥스웰」이 사용되고 기호로는 Φ를 사용한다.
-
자속밀도[磁束密度] (Magnetic flux density)
자계의 방향에 직각인 면의 단위면적(㎡)을 통하는 자속의 수를 말한다.
-
자속방전[自續放電] (Self-maintaining discharge)
arc방전으로 기체중에서 전극간에 적압을 가한 그대로 지속하는 방전을 말한다.
-
자속쇄교수[磁束鎖交數] (Flux of interlinkage)
자속(磁束)이 어떤것과 쇄교하는 수인데, coil에서 사용할 때는 coil의 권수(N)에 이것에 쇄교하는 자속(Φ)을 곱한 것을 말한다.
-
자수의법칙[左手의法則] (Left-hand rule)
전류와 자계와의 관계를 규정한 플래밍(fleming's)의 법칙의 하나로서 전류 i를 통하는 직선도체가 자속밀도 B인 자계중에 이것과 직각에 있는 경우에 힘을 받는다. 그 힘의 방향은 왼손삼지(三指)를 각각 직각으로 폈을 때 중지(中指)의 방향을 전류의 방향, 인지(人指)의 방향을 자속 B의 방향으로 했을 때의 엄지손가락의 방향이고, 힘의 크기는 i×B라고 하는 법칙.
-
자외선[紫外線] (Ultrauiolet rays)
적외선이라고도 한다. 화학작용이 강한 광선으로 파장 6.4μ 이하 0.04μ 정도를 말한다. 살균력도 강하다.
-
자유전자[自由電子] (Free electron)
각물체에는 원자간을 자유로 날아도는 전자가 있다고 생각되어 이것을 자유전자라 부른다. 즉 원자내에 있으며 원자구성의 일부분.
-
자유진동[自由振動] (Free oscillation)
스프링에 무건운 추를 달아매고 일단 손으로 추를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추는 상하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가하여 주는 힘이 없어진 뒤에도 지속(持續)하는 진동을 자유진동 또는 감폭진동이라고 한다. 이 자유진동의 주기(周期)는 추의 무게와 스프링의 성질에 따라서 결정되며 진폭의 대소에는 거의 관계가 없다. 전기회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를테면 충전(充電)된 콘덴서를 저항이 작은 코일을 병렬로 연결하면 콘덴서의 방전은 진동적으로 행하여진다. 곧 자유진동을 하게 되며 이때의 진동주기는 회로정수(回路定數)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을 고유주파수라고도 한다.
-
자화[磁化] (Magnetization)
① 자성체가 자기를 띠운 상태로 되는 것. 상자성체(常磁性體)나 반자성체도 자장속에 놓으면 자화한다.
② 자기유도작용이라든가 전자작용이라든가 기타의 자석과의 마찰에 의해 물체를 자석으로 하는 것. 또 자기분극과 투자율의 비를 말한다.
-
자화선[磁化線] (Line of magnetization)
자화된 자성체내에 새로운 자화의 세기에 의거하여 가상한 선. 다시 설명하면 자성체가 자화되고 있을 때 자속선밀도에 상당하는 선이 그 내부에 같은 밀도로 연속하여 있다고 생각하여 그 가상의 괘선을 자화선이라 부른다.
-
자화율[磁化率] (Susceptility)
자화된 물체내의 일점에서 자화분극과 자계의 세기의 비를 말한다. 보통 K로 나타내며 물질의 종류, 자계의 세기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갖게 된다.
-
자화의세기[磁化의세기] (Intensity of magnetizing)
자화된 자성체의 단위체적당 자기모우멘트. 자계(磁界)중에 그 자계의 방향과 직각으로 막대자석을 넣으면 막대자석에는 그것을 회전시키고자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 회전력은 자석의 일단에 나타나고 있는 자기량(磁氣量) m과 그 길이 L과의 적(積)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자석의 세기를 이 m과 L와의 적을 가지고 나타낸다.
-
잔류자기[殘留磁氣] (Residual magnetism/ Ramanent magnetism)
강자성체에 자계를 작용시켜 이것을 자회한 후에 자계를 제해도 이 자화된 물체에는 자력이 남는다.(히스테리시스현상에 의해) 이 남은 자력을 말한다.
-
재기전압[再起電壓] (Restriking voltage)
차단기에서 소호에 의해 전극간에 나타나는 전압의 처음부분인 과도부분을 말한다. 그것으로 계속되는 전원주파수의 전압을 회전전압이라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차단조건, 소호방법 등에 의해 다르다.
-
재열사이클[再熱사이클] (Reheating cycle)
증기터빈내에서 팽창하는 도중에 증기를 가열하는 cycle.
-
저압선[低壓線] (Low-tension line)
저압전선로라고 칭하는데, 그 주요한 예는 전등, 전력공통인 3상4선식(220V/380V, 120V/208V), 단상3선식(100V/200V), 단상2선식(100V), 3상3선식(200V)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쓰고 있는 것은, 전등은 단상2선식, 동력은 3선식등이다.
-
저항[抵抗] (Resistance)
도체가 그 내부에 기전력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 가하여진 1정전위차를 그것에 흐르는 전류로 제한 것으로서, 전류가 통과할 때에 그것의 장애가 되는 것. 또는 전류통과의 난이정도를 표시하는 것.
-
저항결합[抵抗結合] (Resistance coupling)
2개의 진공관회로의 결합에 저항만 또는 저항과 콘덴서(condenser)를 사용한 것으로 이것으로 증폭기를 만들면 주파수의 변화에 대하여 증폭도가 변하지 않는 주파수특성이 좋은 것을 만들 수가 있다.
-
저항손[抵抗損] (Ohmic loss; Resistance loss)
저항에 의한 전력손실로서 저항을 통한 전류치의 2승에 저항치를 승한 것으로 표시되며, 이 분이 열손실로서 상실된다. 이것은 동손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송전선등에서도 1.5∼20%의 저항선이 있는 것이다. 오옴(ohm)손이라고도 한다.
-
저항용접[抵抗溶接] (Resistance welding)
용접하려고 하는 양물체간의 접촉부에 전류를 통할 때, 그 접촉저항에 의하여 고열을 발하는데, 이 열로써 용접하는 용접법.
-
적외선건조[赤外線乾燥] (Infrared ray drying)
적외선용 전구의 filament에서 발하는 방사에너지를 직접 물체에 조사하고 물체를 효율좋게 신속하게 가열 건조하는 것. 일예로는 건조에 종래 24시간을 요한 것이나 이 방법에서는 20분 정도, 직물, 고무가공, 식료품, 농산물, 약품 등 응용면이 넓다.
-
적외선전구[赤外線電球] (Infrared ray lamp; Head lamp)
파장 760μm 이상의 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하기 위해 filament온도를 낮춘(2000∼2500°K) 장수명, 대용량(250∼500W)의 전구로 R형과 S형과가 있어 공업용 가열건조장치에 사용한다.
-
전격[電擊] (Electric shock)
전기충격을 받는 것으로, 인체가 받는 전격은 주로 인체통과전류량에 의한다고 한다.
-
전계가열[電界加熱] (Dielectric heating)
→유전체가열
-
전기[電氣] (Electricity)
에너지의 일형태로서 관습상 정부(正負)의 둘로 나누어지며, 또 이것을 발생하는 형태에 의하여 압전기, 접촉전기, 열전기 등 각종이 있다.
-
전기각[電氣角(度)] (Electrical angle)
정현파교류의 1주기를 360°로 하고 이에 의하여 잰 각도로서, 발동기 등에서는 2극간이 36°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기하적 각도에 극의 대수를 승한 것이 된다.
-
전기량[電氣量] (Quantity of electricity)
전하량. 단위는 쿠울롬(coulomb) [C].
-
전기력선[電氣力線] (Line of electric force)
① 전계분포상태를 생각하는데 편리하도록 전계중에 가상한 선.
② 전계(電界)내에 일종의 선을 생각하고 그 각점에 있어서의 절선(切線)의 방향을 그 점에 있어서의 전계의 방향에 일치시킨 것을 말한다. 또한 그 동시에 그 선의 밀도(密度)는 전계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
전기로[電氣爐] (Electric furnace)
아크(arc)로, 저항로, 유도로 및 이것들을 병용한 것이 있는데, 모두다 전력을 바꾸어서 열원으로 한 로.
-
전기분해[電氣分解] (Electrolysis)
용질이 전류통과에 의하여 분석되는 것.
-
전기온도계[電氣溫度計] (Electrothemometer/ Electropyrometer)
열전대 열에 의한 저항치의 변화 등의 전기현상을 이용하여 온도를 재는 계기.
-
전기용접[電氣鎔接] (Electric welding)
① 전기저항열 또는 아크열(電弧熱)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
② 금속용접(金屬熔接)에 전기에 의한 아크(arc)또는 접촉저항을 통한 전류의 열로 용접하는 것.
-
전기자[電機子] (Armature)
회전기의 회전자, 발전기에서는 자속을 끓어 기전력을 유기하는 부분인 발전자, 전동기에서는 전기를 받아 자석과의 사이의 전자유도에 의하여 토오크(torque)를 얻는 전동자를 겸하여 부르는 이름.
-
전기자권선[電機子捲線] (Armature winding)
전기자에 감은 권선으로서 감는 법에 중권, 파권 등 각종이 있다.
-
전기자동손[電機子銅損] (Armature ohmic loss)
전기자코일내에 일어나는 저항손.
-
전기자반작용[電機子反作用 (Armature reaction)
전기자권선내에 전류가 흐르면 그 암페어(ampere)회수에 의한 기자력이 계자의 기자력에 작용하여 자속분포에 미치는 현상으로, 이 때문에 중성점이 이동하기도 하고 출력파형이 이지러지기도 하는 각종의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
-
전기자전류[電機子電流] (Armature current)
전기자권선을 흐르는 전류.
-
전기혹연브러시(Electrographite brush)
탄소를 전기로중에서 인공적으로 혹연화 한 것으로 만든 전기용 브러시(brush)로서 접촉저항, 안전전류는 다 크고, 고속용에 적합한 것도 있고, 직류기나 변류기에 흔히 쓰인다.
-
전도[傳導](Conduction)
전기열 등을 전도한다는 뜻.
-
전도대[傳導帶](Conductionband)
단체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전자에 속하는 에너지대.
-
전동기[電動機](Motor)
전자작용, 전자유도작용 등에 의하여 토오크(torque)를 받아 회전하는 기계로 전기에너지(electrical energy)를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ie)로 바꾸는 장치의 일종. 직류전동기, 유도전동기 등을 비롯하여 많은 종류가 있다.
-
전동머신(Motor-driven sewingmachine)
머신(machine)회전(回轉)을 발로 하지 않고 전동기로 하는 것인데, 직권정류자형 전동기가 많이 쓰인다.
-
전력[電力](Electric power)
단위시간내에 도체, 기기 등에서 소비(消費)되는 에너지(energie)의 양인데, 전압V, 전류 I일 때는 전력=VI로 표시하는 것. 순시전력, 평균전력, 피상전력, 무효전력의 구별이 있다. 각항 참조. 또 단위는 와트(W).
-
전력손[電力損](Power loss)
제원인으로 인한 전력손실, 예를 들면 콘덴서(condenser)에서는 유전손, 루전손, 변압기에서는 철손, 동손 등.
-
전력용콘덴서(Power condenser/ Static condenser)
전력회로에 있어서 역률개선, 여과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콘덴서(condenser)인데 유입지콘덴서가 주이며, 정격용량은 정격전압에 따라 각종이 있는데, 10kVA부터 300kVA까지 있으며, 이것들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뱅크(bank)용량에서는 1만kVA인것도 있다.
-
전력케이블(Power cable)
송전선에 사용하는 전력전송용 케이블(cable)인데, H형, SL형, OF형, SO형, 주입 등 각종이 있다.
-
전력퓨우즈(Power fuse)
소용량인 유입차단기에 필적하는 정격과 차단용량을 갖어, 고압(때로는 20kV 정도의 특별고압)회로에 쓰이는 퓨우즈(fuse)로서, 절연통속에 퓨우즈를 넣고 그 주위에 특수한 소호제를 充積한 것이 많다.
-
전류[電流](Current; Electric current)
① 전하 이동을 뜻한다. 그리고 양전하 이동방향을 전류의 방향이라 하고, 어떤 면을 통하여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전하의 총량을 그 면을 통하는 전류의 강도 또는 그냥 전류라고 한다.
② 전하의 이동현상 양전하이동의 방향전류의 방향이다.
-
전류감도 [轉流感度](Current sensitivity)
검류계로 눈금 1(mm)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전류를 뜻한다.
-
전류계[電流計](Ampere meter)
전류를 계량하는 계기인데 형은 매우 많다.
-
전류계전기[電流繼電器](Current relay)
① 예정한 전류치(電流値)로 동작하는 계전기.
② 어떤 예정치의 전류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과전류계전기와 부족전류계전기가 있다. 계전기를 기능별로 분류하는 명칭.
-
전류밀도[電流密度](Current density)
① 도체를 흐르는 전류 I를 그 유선(流線)에 직각방향인 단면적 S로 나눈 I/S.
② 미소면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그 면적으로 제한 것인데, 전류 I의 방향에 직각인 면적ds를 통하는 전류가 di일 때 di/ds를 전류밀도의 크기라고 한다.
-
전리[電離](Ionization; Electric dissociation)
① 중성분자 또는 원자가 에너지(energie)를 받아서 음양이온(ion)으로 분리하는 현상.
② 분자(分子)를 이온으로 하는 현상 '즉 전자(또는 이온)가 고속도로 다른분자에 충동할 때 그 분자중으로부터 전자를 쫓아내어 양전하(陽電荷)를 띠게 하는 현상 및 자외선(紫外線)을 대었을 때 생기는 것 같은 현상을 말한다.
-
전리층[電離層](Ionized layer/ Ionosphere)
① 지구상층의 대기가 태양으로부터의 방사에너지를 흡수전리함으로써 생기는 전자와 이온으로 조성된 층.
② 지구를 둘러싸는 상층(上層)기체가 자외선(紫外線), 태양에서의 미입자 등의 작용에 의하여 전리되어 있는데 그것을 전리층이라고 한다. 그리고 낮은 부분부터 불규칙한 C층 다음에 지상 50∼60km에 D층, 지상 약 200km에 F1층, 지상 250∼500km에 F2층, 다시 지상 600∼1,000km에 G층 등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것들은 전파 전반에 큰 관계가 있다. 다시 말하면, 지구의 상층대기I大氣)중에 있는 대기가 이온화(化)하고 있는 영역(領域)의 총칭. 대표적인 것에는 E층과 F층이 있다. E층이란 캐넬리 헤비사이드 층을 가리키며 F층은 E층보다는 높은 곳에 있고, 또 E층보다도 전자밀도가 크다.
-
전부하[全負荷](Full load)
명관에 나타낸 최대부하.
-
전선[電線](Electric wire/ Conductor)
전기도체로서 만들어진 선으로, 동철 알루미늄(Aluminum)등으로 만들어져 있다.
-
전선관[電線管] (Wire tube/ Wire pipe conduit)
옥내배선에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선을 넣어두는 금속제관으로 콘 듀이트(Conduit), 파이프(pipe), 튜브(tube) 등으로 불리고 있다.
-
전선접속[電線接續](Wire splicing)
두가닥의 전선을 잇는다는 뜻인데 트위스트(twist)접속, 부리타니야(britannia)접속, 막킹타이야(mclntire or sleeve)접속등 각종이 있다. 전양자? 도시한다.
-
전속밀도[電束密度](Dielectric flux density)
유전체중의 일점에 있어서 어떤 방향에 수직한 단위면적중을 통하는 페러데이관의 수로서, 유전속밀도 또는 전기변위라 한다.
-
전식[電蝕](Electrolytic corrosion)
전기부식이라는 뜻인데, 특히 전철의 루출전류로 인하여 지중매설금속체가 전기분해를 일으켜 부식하는 것을 뜻한다.
-
전주[電鑄](Galvanoplastics Exectrotyping)
주형의 외면 또는 내면에 흑연 등을 칠하고, 거기다 전해로 금속을 침착시키는 것으로서, 동상이나 메달 제작에 이용한다.
-
전압강하[電壓降下](Voltage drop)
① 송전단전압과 수전단 접압과의 차,
② 전압이 제종이유로 낮아지는 것, 전류와 저항의 적도 뜻한다.
-
전압강하법[電壓降下法](Drop method/ Fall-of potential method)
저항에 전류를 류입시켜 전류치와 전압강하를 조꿁고 오옴(ohm)의 법칙에 따라 저항치를 아는 저항측정법.
-
전위[電位](Poten tial)
① 어떤 점의 전위라 함은 단위양전하(單位陽電荷)를 무한히 먼곳에서 그 점까지 가져오는데에 필요한 먼곳에서 그 점까지 가져오는데에 필요한 일 전계(電界)또는 전기회로내의 전위는 전계의 존재 즉 대전(帶電)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서 보통 표준의 전위 즉 영전위(零電位)를 정하고 이것으로부터 몇 볼트 높다고 부르고 있다. 전위가 다른 2점을 접속하면 전위가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전류가 통한다.
② 전계중에서 A점으로부터 B점으로 단위 정전하를 옮길 때, 외력이 전하에 작용하는 전기력에 거슬리면서 일을 할 때, B점편이 A점보다 전위가 높다하고, AB 2점은 전위차를 갖는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의 크기로 2점간의 전위차의 대소를 나타낸다.
-
전위차계[電位差計](Poteniometer)
전압의 정밀측정에 사용하는 것으로 적류용, 교류용이 있는데 후자는 교류의 실효치와 위상각을 잴 수 있다. 다시말하면 전원의 기전력(起電力) 또는 2점간의 전위차를 측정함에 있어서 표준전지 등의 이미 알고 있는 전압과 비교하여 측정하는 것을 전위차계라고 한다.
-
전자기학[電磁氣學](Electromagnetism)
전기 및 자기 상호간에 생기는 관계와 현상을 다루는 학문.
-
전자유도[電磁誘導](Electromagnetic induction)
도선이 운동하여 횡단쇄교하든가, 자선이 운동하여 교차하면 도선중에 기전력을 발생하는 현상이다. 인덕턴스(inductance)항, 우수의 법칙의 항, 또는 좌수의 법칙의 항.
-
전하[電荷](Electric charge)
모든 전기현상의 근원이 되는 실체을 전원이라 하는데 그것에는 음전하, 양전하의 2종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전해로[電解爐](Electrolytic furance)
알루미늄(Aluminium)이나 마그네슘(Magnesium)제조에 쓰이는 것으로, 원료를 고온으로 용융하여 전해하는 로.
-
전해액[電解液](Electrolyte)
전류를 통함으로써 화학변화를 하는 액체(液體)
-
전해조[電解槽](Electrolytic cell electrolyzer)
전해작용을 하기 위한 전극. 전해액을 넣은 용기로서 전해액에 부식되지 않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
절연[絶緣](Insulation)
전류의 통과를 방해하는 것.
-
절연내력[絶緣耐力](Insulating strength)
절연이 파괴하는데 이르는 전압을 시료의 두께로 나눈 것을 말한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KV/mm로 나타낸다.
-
절연전선[絶緣電線](Insulated wire)
나전선을 고무, 지, 면사, 견사 등으로 피복하거나 또는 에나멜(enamel)등을 말아 절연을 보환 전선. 1종 및 2종 면 절연전선, 고무절연선, 비닐절연선 등 용도에 의해 각종이 있다.
-
절연파괴[絶緣破壞](Breakdown)
절연물에 전압을 가하여 이것을 높여가면 절연물의 표면, 또는 내부에 누설전류를 통하게 되어 있어서, 이 절연이 파괴한다. 이것을 절연파괴라 한다. 이 때의 전압을 절연파괴전압이라 한다.
-
절연협조[絶緣協調](Insulation coordination)
송전선과 기기에서는 하나만 절연이 좋아도 못쓰고 애자라든가 지지물, 선간격 등 무엇이고 상호의 절연간에 합리적인 관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
점호[點弧](Ignition)
수은정류에 있어서 수은아아크를 발생시키는 것.
-
접지[接地](Earth/ Grounding)
기기, 지락, Earth라고도 부른다. 도체를 지표에 연락한다는 것으로 여기에 의해 대전하고 있는 물질은 대전을 잃는다. 또 때로는 어느 대전체와의 감응에 의해 이것과 역의 대전을 한다는 것으로 접지라 불리우는 것은 어느 목적을 갖고 전로를 대지와 전기적으로 이으는 것이고 또 지락(地絡)이라 하는 것은 전로의 이상상태라 하여 전로의 일부가 대지와 전기적으로 이으는 것.
-
정격[定格](Rating)
① 제조자가 보증하는 기기의 사용한도.
② 기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전압, 전류, 속도 등에 일정한 제한이 있는데 이것들을 증감하면 손실, 온도상승, 통풍불충분등으로 형편이 좋지 않은 일이 생기므로 효율도 생각하여 최적한 출력, 전압, 전류, 속도 등 생각할 수 있는 것을 정한것으로서 이것을 그 기계의 정격이라 하고, 대개는 기계의 명판에 기록해 두는 것으로 그 외에 단시간 사용일 경우의 단시간 정격, 1시간의 시간을 구분지은 1시간 정격 등이 있다.
-
정격용량[定格容量](Rated capacity)
전동기 및 발동기 및 진공관 등의 전기기기에 있어서 제작자가 규정한 용량.
-
정격전류[定格電流](Rated current)
정격에 의하여 정해진 전류로서 특히 변압기의 경우는 정격출력을 정격2차전압으로 제한 것을 정격2차전류라고 하는데 이것을 권수비로 제한 것이 정격1차전류이다.
-
정격전압[定格電壓](Rated voltage)
① 정격출력(定格出力)일때의 전압.
② 정격에 의해 표시된 전압으로 폐쇄기, 차단기, 콘덴서(condenser)등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압의 한도를 말하고, 선로공칭전압의 115%, 발전기에서는 정해진 출력전압으로서 우리나라의 표준정격은 110V, 220V, 3300V, 6600V, 11000V로 되어 있다. 변압기에서는 전부하단자전압을 정격2차전압이라 하는데, 여기다 권선비를 승한 것이 정격1차전압이다. 또 전동기에서는 정격출력을 얻는데 필요한 전압을 말한다. 또는 여자기는 110V, 220V의 2종으로 또 동기조상기는 3300V, 6600V, 11000V로 정해져 있다.
-
정공[正孔](Positive hole)
반도체에서 사용하는 말로 전자가 결합이 떨어진 부분의 정의전하를 갖은 곳에서 전기전도작용을 갖는다.
-
정류[整流](Rectification)
교류전류에서 맥류(Ripple) 또는 직류를 얻는 것으로 교류전압의 절반만을 빼내는 반파정류와 교류의 양측을 사용하는 전파정류등이 있다.
-
정류자[整流子](Commuator)
다수의 정류자편(경동제)은 마이카(Mica)등으로 절연하여 원통형에 꼭 매여부처 권선의 리이드(lead)를 이은 것으로 전기자에 직결되여 이것과 같이 회전하여 그 위를 Brach가 접속하는 것에 따라 정류작용 키타를 일으키는 것.
-
정변조[定變調](Constant modulation)
과변조(過變調)를 맞고 되도록 언제나 깊은 변조도를 얻어 변조능율을 항상시키도록 고안된 변조벤, 주로 음성변조에 적용된다. 이를테면 스크리인 그리드 변조시에 음성변조전압을 정류하여 스크리인용 직류바이어스 전압에 겹쳐져서 음성이 클 때에 스크리인 전압이 높고 융성이 적을 때에 스크리인 전압도 낮아지는 것과 같아지는 극성을 가지고 작용한다.
-
정전[停電](Service interruption)
전기가 통하지 않는 말.
-
정전계[停電界](Electroastic field)
정전기력의 작용을 하는 공간.
-
정전기[靜電氣](Positive electricity Static electricity)
전해질용액중의 금속이온을 갖는 전기. 금속을 포로 문지를 때 포에 생기는 전기와 같이 양의 전기를 말한다. 전류와 같이 동적인 현상을 생각하지 않고 전하와 같이 靜態의 전기에 의한 물리현상을 생각하는 것. 여기에 대하여 전류와 같은 것을 동전기라 부른다.
-
정전압변조[定電壓變調](Constant voltage modulation)
피변조관 및 변조관의 양극회로를 직열로 접속하고 변조관의 양극직류전압 강하를 그 격자에 가해지 변조전압에 의하여 변화시키는 것에 다라 피변조의 양극진류전압을 변화시키는 변조법으로서, 직열변조라고도 한다.
-
정전용량[靜電容量](Electrostaic capacity)
고립도체에서는 절연도체의 전위를 단위량에 보지하기 위해 여기에 주어질 전하의 량, 또 2개의 도체 사이에서는 부호가 상반하는 전하 ±Q를 주었을 때 즉 이 도체의 전위가 V로 되었을 때 Q/V를 말한다. 단위는 패릿으로 나타낸다. 혹 V가 1Volt, Q가 1Coulomb인 때 정전용량은 1패럿(F)으로 된다. 송전선 1조의 중심선에 대한 정전용량 C는
단, Dsms 선간건리(㎜) r는 전선의 반경(㎜)
-
정전유도[靜電誘導](Static induction/ Electrostatic induction)
예를들며 대전이 없는 금속봉의 1단을 타의 대전물에 가까이하면 금속봉의 대전체에 가까운 단에 대전체와 이종의 전기가 먼 단에는 대전체와 동종의 전기를 유발하는 것.
-
정전차폐[靜電遮蔽](Electrostatic shielding)
외부로부터 정전력으 받지 않게 또는 외부에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양도체로 둘러싼다는 것.
-
정정[整定](Setting)
① 계전기, 자동장치등에 있어서 소정의 값을 출현케 인위적으로 설정하는 것.
② 자동제어와 계전기에서 사용하는 말로써 제어의 희망치 또 목표치를 나타내는 값으 정정치라 말한다. 그것을 나타내는 부분을 정정부라 말한다. 이 정정치를 어느 값에 누르는 것을 정정이라 이른다. 새로 입력의 변화가 있을 때 이 정정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정정시간이라 말한다.
-
정태안정극한전력[情態安定極限電力](Steady-state power limit)
송전선에서 부하가 점차 증가되도라도 극한송전전력에 이내에 있으면 조상기를 조정하여 이것에 부응한 전력을 보낼 수가 있는데 이것이 어느 값 이상이 되면 이미 송전전력을 보낼 수 없게 되고, 무효전력은 점점 증대하게 되고, 발전기 및 조상기는 불안전하게 되어 마침내 탈조(脫調)한다. 이 전력을 안정하게 계속 송전할 수 있는 최대전력을 말한다.
-
정태안정도[定態安定度](Steady-state stability/ Static stability)
송전선에서는 불변부하 또는 서서리 변하는 부하상태하에서 계속 송전할 수 있는 정도, 또 동기기기에서는 일정한 여자전류하에서 부하가 일정할 때 또는 서서리 변할때에 계속 발전할 수 있는 정도.
-
정합[整合](Matching)
전신전화 등에서는 impedance를 어느 점으로 보고 좌우를 같게 하거나 또 공중선등에서는 급점에서 본 공중선의 impedance와 파동 impedance를 갖게 하는 것을 말한다.
-
정현파[正弦波](Sine wave/ Sinusoidal wave)
① 파형이 정현곡선이 이루는 파를 말함. 진공발전기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교류전압이나 전류는 대체로 정현파에 가까운 것이며 교류회로의 계산을 할 경우는 대개 전원을 정현파라 가정하여 고찰하고 있다.
② F(t)=Asin(ωt+Ø)이라 하는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파.
-
제너다이오드(Zener diode)
강복전압의 일정성에 의한 정전압특성을 이용하는 diode
-
제동[制動](Braking/ Damping)
① 회전기 등의 속도를 가감하거나 정지하여 위험한 속도에 달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마찰제동, 발전제동, 회생제동, 와전류제동 등이 있다.
② 진동물체의 진폭을 감하거나 정지시키는 것으로 계기의 지침등의 제동법에도 유제동, 공기제동 등이 있다.
-
제백효과(Seeback effect)
일반적으로 2종의 다른금속선을 이어 만든 폐전로(열전대)에 있어서 그 다른접점을 다른 온도로 보지하면 그 회로에 기전력(열기전력이라고도 부른다)이 생겨 전류(열전류)가 흐르는 현상
-
제어량[制御量](Controlled variable)
제어계에서 제어의 대상이 되는 것의 갖는 량을 말한다. 그 량을 목표로 하는 값에 일치케하는 것이 제어의 목적이다.
-
제어반[制御盤](Controlling board)
배전반의 일종으로 경사반상에 제어개폐기(制御開閉器), 신호등(信號燈), 계기, 개폐기 등을 취부한 ?형의 것으로 때로는 수직형의 부분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
제어선[制御線](Control line)
자극송신이 수신을 방해하지 않게 송수신기를 상당히 띠워서 설비하고 양자간에 陸線을 설치하여 통신수는 수신소에 와서 전건에 의해 송신소의 송신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동시에 송신도 수신도 가능한 것으로 이 용도에 사용하는 육선을 말한다. 또 조종(control)선이라고도 부른다.
-
제 2종 접지공사[第二種接地工事](Secondclass earth connection)
접지선과 대지간의 전기저항을 변압기의 고압측 또는 특별고압측 전기의 1선지락 전류의 A수로 150을 나눈 값과 동일한 Ω수 이하로 하고, 접지선은 특별고압용변압기에서는 4mm 이상인 동선, 고압용변압기에서는 1.6mm 이상인 동선을 사용한다.
-
제한전압[制限電壓](Limit voltage)
피뢰기(避雷器)의 방전시 그 단자에 남는 서어지(surge)전압으로 정격전압 154kV의 선로에 이어지는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710kV이며 방전전류는 2360A이다.
-
조광기[調光機](Dimmer)
저항 또는 변압기로서 전압을 바꾸며 광도를 조정하는 장치.
-
조도[照度](Intensity of illumination/ Illumination)
어느면의 단위면적당에 들어오는 광속밀도를 말한다. 단위는 룩스(lx)를 사용한다.
-
조도계[照度計](Illuminometer)
어느 면의 조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계기로 machbeth, weber, Tharp miller등 각종이 있다.
-
조력발전소[潮力發電所](Tidal power station)
조석간만(潮汐干滿)의 차가 현저한 해안을 선택하여 潮池라고 부르는 해수저수지를 설치하고 외해가 고조일 때 수문을 열어, 해수를 조지에 유입시키고 반대로 저조시에는 조지에서 외해로 역류시켜서 유수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
-
조명기구[照明器具](Lighting fittings/ Luminairs)
광원에서 빛을 적당히 반사(反射), 굴절(屈折), 투과(透過)시켜서 조명의 목적을 거두는 기구.
-
조명율[照明率](Coefficrent of utilization/ Illumination efficiency of light)
어느 면이 받는 전광속(全光束)을 광원의 전광속으로 나눈 것. 조명효율과 거의 같은 것.
-
조명효율[照明效率](Illumination efficiency)
조명설비에서 작업면(통상 상상 85㎝)에 투과하는 광속과 설비된 전구 전체가 발생하는 광속의 비.
-
조상기[調相機](Phase modifier)
동조전동기의 일종으로서, 전기입사을 변화시키며, 송전선전압의 전압조정 및 역율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
조속기[調速機](Speed governor)
증기터어빈(turbine)이 새로운 부하에 대하여 정회전이 될 때까지의 시간.
-
조작부[操作部](Operating unit/ Final control element)
자동제어계에서 조절부의 신호를 조작량에 바꾸어 제어대상에 일을 하게 하는 부분.
-
조정지[調整池](Regulation pond/ Pondage reservoir)
1일간의 부하 변동에 대하여 부하가 작을때에 여수(餘水)를 저수하여 피이크(peak)시에 방출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것.
-
주울(Jule)
에너지 및 일의 MKS단위. 에르그의 107배, 양(量)기호는 J. 1[J]은 물체에 1[N]의 힘을 가하여 그 힘의 방향으로 1[m]움직이는데 필요한 일이다. 1[W]의 전력이 1초간에 행하는 일과 같다.
-
주파수[周波數](Frequency)
파의 정(또는 負)의 최고치에서 다음의 정(또는 負)의 최고치로 달하는 변화를 1Hz(1주파)라 부르고, 1sec간의 변화의 Hz수를 주파수라 부른다. 단위기호는(∼)(c/s)(KC)(Mc)등이 있으며 오늘날에는 [Hz] [KHz] [MHz]가 쓰이고 있다.
-
주파수변환기[周波數變換器/ 周波數變換機](Frquencyc hanger/ Frequency converter)
① 周波數變換器 : 교류 전력인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
② 周波數變換機 : 주파수의 변환을 행하는 동력용 전기기P 2개의 변압기를 병렬접속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고 직유에서 철심내의 자속을 포화시켜 이 포화를 이용하여 2개의 철심이 교호로 발생하는 전압을 사용하여 입력의 2∼3배의 주파수를 갖는 출력전압을 얻는 장치. 변압기라고도 한다.
③ 교류전력을 어떤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정지기(靜止器)
-
준안정상태[準安定狀態](Metastable state)
원자중의 전자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자신이 들고 있는 궤도에서 바깥 궤도로 바뀌면 아주 불안전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안전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광(빛)을 발생하여(받은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한다) 점점 저단위의 궤도로 내려오나 이것이 어느 준위까지 내려오면 어느새 빛을 발하는 것이 없어지는데 이 상태를 준안정상태라 한다.
-
중성선[中性線](Netural line)
전원과 부하측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 또는 직류기의 무부하상태하의 극대기전력에 대응하는 브러시(brush)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선.
-
중첩의 원리[重疊의 原理](Superposition theory)
여러개의 기전력을 포함하고 있는 회로망등에 적용될 수 있는 원리. 즉 회로망속에 두 개 이상의 기전력이 있을 때, 회로망의 각부에 흐르는 전류는 각기전력에 의하여 각 지로(枝路)에 흐르는 전류를 따로따로 구하고, 이들을 합성한 것과 같게 하는 원리이다. 겹쳐맞춤의 원리. 중합의 원리.
-
직류발전기[直流發電機](DC dynamo)
① 직류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로서 직권분권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가 있다.
② 직류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
-
직류송전[直流送電](Direct current transmission)
직류로 송전한다는 말로 대전력원거리송전에서는 직류는 최대치가 실효치이므로 교류보다 4할 큰 전력을 보낼 수 있고, 삼선식을 사용하여 중성점을 접지하면 중성점의 절연은 생각하지 않아도 되므로, 송전선을 두가닥만 설치하여도 되며, 대지를 귀선으로 할 수 있으며, 또 철탑도 염가로 할 수 있으며, 유전손도 없고 와전류손도 없는 등의 이유로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는 정전류형, 정전압형의 구별이 있다.
-
직류승압기[直流昇壓器](DC booster)
전로에 직류기의 전기자를 직렬로 연결하고 그 유기기전력으로 전로전압을 가감하는 것.
-
직류발전기[直流發電機](DC dynamo)
① 직류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로서 직권분권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가 있다.
② 직류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
-
직류송전[直流送電](Direct current transmission)
직류로 송전한다는 말로 대전력원거리송전에서는 직류는 최대치가 실효치이므로 교류보다 4할 큰 전력을 보낼 수 있고, 삼선식을 사용하여 중성점을 접지하면 중성점의 절연은 생각하지 않아도 되므로, 송전선을 두가닥만 설치하여도 되며, 대지를 귀선으로 할 수 있으며, 또 철탑도 염가로 할 수 있으며, 유전손도 없고 와전류손도 없는 등의 이유로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는 정전류형, 정전압형의 구별이 있다.
-
직류승압기[直流昇壓機](DC booster)
전로에 직류기의 전기자를 직렬로 연결하고 그 유기기전력으로 전로전압을 가감하는 것.
-
직접결합[直接結合](Direct connection)
증폭회로(增幅回路)에서 전단진공관의 양극부하저항으로부터 직접 후단진공관의 격자회로에 고주파전압을 넣는 형식의 결합방업으로 로프틴화이트 식이라고도 한다.
-
직접매설식[直接埋設式](Direct laying system/ Built-in system)
지하케이블(cable)선을 관 속에 넣지 않고 트립(trap/ 흄통) 속에 넣고 여기에 모래를 채우고, 그 위를 뚜껑으로 덮고 지하에 매설하는 방법.
-
직접접지방식[直接接地方式](Direct grounding system)
변압기를 △-Y결선하고, Y의 중성점을 금속선으로 접지하는 방식인데, 이것으로는 1선지락이 생기더라도 타 2선 이성형전압 이상으로는 오르지 않으므로 변압기의 절연을 경감(輕減)할 수 있고, 지락전류에 의해 접지계전기(接地繼電器)를 동작시켜 선택 차단을 할 수 있지만, 이 지락전류 때문에 통신장애를 가져온다.
-
직접제어[直接制御](Direct control)
전철의 전동기제어방식의 1종으로서 저항제어에 의하는 형, 폐로도가 있는 형, 단락도가 있는 형의 4종이 있다.
-
직접조명[直接照明](Direct Ilumination)
반사 등에 의하지 않고 피조물(被造物)에다 직접 광선에 비추는 조명법.
-
진상용콘덴서(Power condenser)
전력계통의 부하에 병렬로 접속되여 진상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그 계통의 역율을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전력용 Condenser 저압용은 15∼300㎌의 것이 있고 또 고압용은 10∼300kVA인 것이 있다.
-
진폭변조[振幅變調](Amplitude modulation)
변조방식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반송파(搬送波)의 진폭을 변조파(變調波)로 변조하는 방식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