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낙뢰피해 eca3G가 해결한다.

1

문제의 원인 확인

왜 낙뢰피해가 발생하나?

피뢰침과 SPD도 있고 접지저항이
낮은데도 왜 자꾸 낙뢰를 맞나?

2

과학적 사실 확인

과학적인 해결대책 수립

이론적 자료와 사실적 근거로
시험을 통한 사실 확인

3

이래서 권합니다.

Since 1999
25년 약 20,000여 개소
낙뢰 방호 99.98% 성공률
(2024년 기준)

국제·국내특허·CE인증, 고객이 인정한
기술의 신뢰성 현장에서 증명한 검증된 기술력

잘못된 상식에서 벗어나
올바른 낙뢰방호대책을 수립하시기 바랍니다.

문제의 원인 확인

왜?

피뢰침사기극을 한다고 하는가?

왜냐하면

避雷針, 그는 避雷라는 이름을 이용하여
未必的 故意欺瞞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증 제1호

피뢰침은 낙뢰를 피하게 하는 避雷가 아니고 낙뢰를 誘導 한다.
따라서 낙뢰유도침이라고 해야 한다.
이것이 未必的 故意欺瞞을 하는 증거이다.

증 제2호

증 제3호

뇌운의 크기는 직경 수 km ~ 수십 km가 되고, 피뢰침의 크기는 야구공만 하다.피뢰침이 뇌운의 전하(-1000)와 대전이되면,
대전법칙에 의하여 피뢰 도선에 공통을 연결된 반대 축의 통신
장비 등에 +1000 전하가 대전되거나, 혹은 접지전선으로 연결, 등전위 되어 피뢰침과 같은 -1000이 된다.

증 제4호

과학적 시험을 통한 증거 자료

피뢰침 시험 자료01
시료 뇌충격 임계섬락
전압(CFO)[kV]
일반형 A -1, 142
B -1, 139
ESE C -1, 134
D -1, 158
E -1, 145

* KREI 의 시험에서 일반피뢰침과
ESE피뢰침은 차이 없음이 확인 됨

피뢰침 시험 자료02
시료 CFO Voltage [kV]
뇌충격전압 개폐충격전압
일반형 a -629 -552
DAS b -647 -578
c -631 -548
d -640 -546

* KREI 의 시험에서 일반피뢰침과 몰아내는
DAS피뢰침은 큰 차이 없음이 확인 됨.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했는데..... 1750년대 이후 피뢰침으로 2세기가 다되어가도록 변한 모습 없다. KSC-9609(1971. 10. 01 제정) - 33년 만에 폐기수명한 규정 폐지(2004. 12. 09)하고 KSC-IEC로 개정되면서 '피뢰침이 避雷를 한다'는 시대구호는 막을 내렸다. 특히 ICLP(International conference on lightning protection)에서는 비재래식피뢰침(ESE, DAS 등)의 위험성을 강력하게 알리고 있다. 또한 한국전기연구원의 시험자료에서와 같이 차이가 없음이 확인됐다.

증 제5호

낙뢰 전기는 피뢰침과 같은 쇠뭉치로는 막을 수 없다

몰아낸다는 피뢰침이 건물 옥상에 있고, 건물 뒷편 철찹에 유도하는 피뢰침이 있다. 피뢰침 보호각도도 맞다.
그렇지만 전자장비는 낙뢰피해를 입었다.

여러 개의 피뢰침을 설치하고, 접지저항값도 낮았고, SPD도 설치되었지만 결국 보호하려던 전자통신장비는 낙뢰피해를 입었다.

증 제6호

피뢰침이 없어서 낙뢰피해가 발생 했는가?

낙뢰를 유도한다는 피뢰침이 있지만 다른 곳에 낙뢰 맞았다. 낙뢰피해가 발생 한 곳에 피뢰침이 없어서 그런 것인지 딱 한번만 생각해 보세요.

증 제7호

피뢰침으로는 낙뢰로부터 전자통신제품을 보호 할 수 없다

낙뢰는 이장집 밤나무에 쳤는데 고장난것은?
피뢰침이든 밤나무이든 낙뢰를 맞았을때 전자제품을 보호 하는 것이 진짜 피뢰설비의 목적이다.

증 제8호

피뢰침이 있었지만 발생한 전자통신장비의 피해

전자제품이 고장 난 것은 피뢰침의 有無가 아니고
낙뢰로 인한 전자기적 충격 때문이다.

증 제9호

피뢰침에 대한 마지막 결론

전자기제품을 보호하고자 하여 피뢰설비를 하지만, 피뢰침이 낙뢰를 끌어당기든 몰아내든 간에 전자기제품은 고장이 난다.
왜냐하면 전자기제품이 고장 나는 근본 원인은 낙뢰를 직접 맞아서가 아니라 전자기적인 충격(유도뢰, Surge, 과전압 등) 때문에 전자기 제품이
고장이 나는 것이고, 피뢰침은 전자기적인 충돌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 할 뿐이다. 이래서 피뢰침을 사기꾼이라고들 한다.

전력공급계통과 접지방식의 불일치가있었다 Y결선은 공통접지가 적합하다

피뢰침이 避雷를한다는 사기를 당했다. 피뢰침은 避雷가 아닌 雷를 請한다

KSC - 9609(1971.10.01제정)의 피뢰침만 의존했다 지금은 첨단 디지털전자시대이다

KSC - 9609는 33년 만인 2004/12/09에 폐지되고 2005년에 KSC - IEC로 개정됐다

독 립

공 통

한국은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하는 Y결선 방식이기 때문에 공통접지가 적합한데도 불구하고
일본의 델타 방식에 사용되는 독립전지 방식을 잘못 도입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고 잘못이다.

Y 결선 전기공급방식
국가명 주파수(Hz) 전압(VAC) 배선수 중성선 유/무 접지방식(규정) 콘센트 Type
한국 60 220/380 2,3,4 독립전지 C & F Type
한국 60 220/380 2,3,4 공통접지 (2022부터) C & F Type
호주 50 240/415 2,3,4 공통접지 I Type
미국 60 120/240 2,4 공통접지 A & B Type
캐나다 60 120/240 2,3,4 공통접지 A & B Type
브라질 60 127/220 2,3,4 공통접지 A & B, C Type
프랑스 50 127/220 2,4 공통접지 E Type
독일 50 230/400 2,4 공통접지 C & F Type
영국 50 230/400 2,3,4 공통접지 G Type
스웨덴 50 220/380 2,3,4 공통접지 C & F Type
스위스 50 220/380 2,3,4 공통접지 J Type
△ 결선 전기공급방식
△ 결선 전기공급방식
국가명 주파수(Hz) 전압(VAC) 배선수 중성선 유/무 접지방식(규정) 콘센트 Type
일본 50 100/200 2,3 독립전지 C & F Type
소말리아 50 220 2,3 독립전지 C & F Type
북예멘 50 220 2,3 독립전지 I Type
파나마 60 110 2,3 독립전지 A & B Type
페루 60 220 2,3 독립전지 A & B, C Type
우루과이 50 220/380 2,3 독립전지 C, F, I & L Type
노르웨이 50 220/380 2,3 독립전지 C & F Type

한국은 2005년도에 KSC - IEC로 개정되기 이전에는 독립접지방식을 채택하는 오류가 있었고,
독립접지방식은 낙뢰피해 발생 원인 중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과학적 사실확인

시험 1

AC전원 220V가 전구에 공급이 되고, 전구에 공급되는 AC전원에
낙뢰surge 6 kkW(1.2/50us), 3,000 A(20/8us)의 전압과 전류를
중첩하여 전구에 인가하여, 낙뢰전류를 접지로 방전하여 장비를
보호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시험이다.

접지저항 값이 2.64 Ω인 접지설비를 구축하고, 낙뢰서지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위와 같이 시험한 결과 전구는 파손됐다.
비록 접지저항 값이 낮다 해도, 낙뢰서지를 대지에 방전시켜서
전자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없음이 확인됐다.

시험 2

대지의 저항률(Ω.m)은 매우 크다.
따라서 장비와 연결된 금속 도체를 통하여 대부분의 방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래 시험 결과에서와 같이 접지로의 방전은 극히 일부분 뿐이다.

대지저항률은 약 150Ω.m 이다. 10kV/5kA를 대지에 방전시킨
시험결과 515 A만이 대지에 방전이 됐다.
접지저항 값이 낮아도 접지로 방전은 극히 작고,
따라서 전지 발전으로 장비 보호를 할 수 없음이 확인됐다.

시험 3

AC전원에 낙뢰 surge 6 kV (50/1.2 us), 3000A(8/20us) 의 뇌격을 전구에 인가하여, 낙뢰보호트랜스의 낙뢰전류 차단 성능을 시험했다. 그 결과 낙뢰보호트랜스(절연변압기)는 낙뢰서지를 차단하지 못했고, 전구는 크게 파손 되었다. 낙뢰서지도 전기와 같기 때문에 통과 된다.

낙뢰보호절연변압기는 낙뢰나 Surge를 차단하지 못하여 장비를 보호 할 수 없다.
낙뢰보호절연변압기가 낙뢰와 Surge를 차단 할 수 없는 이유는 낙뢰전류와 Surge도 전기이기 때문이다.

시험 4

3세대 디지털 접지장치(eca3G)를 설치하면 전구는 당연히 보호가 되었다. 그러면, 첨단 IC회로로 만들어진 점멸기와 노트북(PC)은 어떻게 될까? 다음장에서 확인 하세요.

시험 5

미국특허, CE, 조달청우수제품(2007년 ~ 2010년), 방위사업청 중소기업우수제품(2009년)인 3세대 디지털 접지장치(eca3G)는 낙뢰에너지를변환하고 차단하여 완벽하게 첨단 IC회로로 구성된 점멸기와 노트북(PC)도 완벽하게보호를 했다.

시험 6

1999년부터 25년간 20,000개소에 낙뢰방호솔루션을 실시하여 99.98% 성공한 (2012년 기준) 3세대 디지털 접지장치(eca3G)는 낙뢰 Surge와 같은 이상전압을 검출 제거하여 전자기적인 충격으로부터전자/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래서 권합니다.

GROUND는 지구가 107,169km/h로 공전을 하는 동안에도
25년간 20,000개소(2024년 기준)에 낙뢰방호를 실시했습니다.

1999년부터 25년간 99.98%
20,000개소의 낙뢰방호 성공(2024년 기준)

세계최초의 3세대 디지털 낙뢰방호장치 eca3G는
미국특허 • 국내특허 • CE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조달청우수제품(2006~2010년), CE인증(2006~2010년),
중소기업청성능인증(2006~2010년)
대한민국 해군과 2001년부터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낙뢰방호임무를 함께 수행중입니다.

이렇게 eca3G는 낙뢰로부터
전자통신제품을 보호합니다.

미국특허, CE, 조달청우수제품(2007~2010년), 방위사업청
중소기업우수제품(2009년)인 3세대 디지털 낙뢰방호장치 (eca3G)는
낙뢰에너지를 변환하고 차단하여 완벽하게 첨단 IC회로로 구성된 점멸기와
노트북(PC도) 완벽하게 보호를 했다.

eca3G는 낙뢰Surge와 같은 18kV충격을 차단해서
저전압 첨단 IC 반도체 설비도 보호할 수 있다.

1999년부터 25년간 20,000개소에 낙뢰방호솔루션을 실시하여
99.98% 성공한 3세대 디지털 낙뢰방호장치(eca3G)는
낙뢰Surge 같은 이상전압을 검출 제거하여 전자기적인 충격으로부터
전자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