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낙뢰방호대책

낙뢰란?

낙뢰란 뇌운 속에서 분리 축전된 음(-)과 양(+)전하 사이 또는 뇌운 속의 전하와 지면에 유도된 전하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생기는 불꽃 방전 현상으로 일반적으로는 벼락 또는 대지 방전이라고 부른다.
낙뢰의 약 80%는 구름 내부 또는 구름 대구름 사이에서 발생하고 약 20%만이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활동적인 뇌운에서는 이러한 불꽃 방전을 반복하기에
충분한 전하의 분리가 계속 일어나고 있다.

양전하(+)는 구름 상부에 넓게 분산되어 분포하고,
음전하(-)는 주로 구름 하부에 분포한다.

뇌운의 크기 및 특성

뇌운 최하부의 지상높이(km): 하계뢰 1.2 / 동계뢰0.3

전압 (MV): 하계뢰 약 102 / 동계뢰 약 10~102

전하량 (C): 하계뢰 0.2~(2.5)~20 / 동계뢰 0.1~(3.5)~3x10

정전에너지(kJ): 하계뢰 약 10° / 동계뢰 약 102~102

뇌운의 구조

뇌운의 상부는 양전하(+)와 얼음결정으로 이러우져 있으며 차고 밀도가 높은 공기로 되어있다.

하부는 음전하(-)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듯하고 습한 공기로 되어있다.

1운내방전 (Intra cloud or cloud discharge) 동일 뇌운 내의 (+)와 (-)전하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

2운간방전 (cloud to cloud to cloud discharge) 다른 뇌운 간의 (+)와 (-)전하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

3대기방전 (Air discharge) 뇌운과 주변 개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방전

4운간방전 (cloud to cloud to cloud discharge) 다른 뇌운 간의 (+)와 (-)전하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

상승기류